티스토리 뷰

건강 HEALTHY

흉관 간호 에대해 알아보자

최고고수 2017. 8. 14. 20:11

흉관 삽입시 간호는 흉관삽입은 매우 고통스러우므로 응급으로 하지않는 한 흉관을 삽입하기 30분 전에 진통제를 투여하고, 흉관의 삽입 절차와 사용되는 기구에 대해 설명해주어야 한다.흉관을 튼튼하게 고정하고 배액 기구에 연결한다.공기를 제거하기 위해 흉관을 삽입할 경우에 앙와위를취해주고, 공기가 위로 올라가기 때문에 2번째 늑간
중앙쇄골선에 관을 삽입한다. 액체를 제거하기 위해서 는 등받이로 침상머리를 30도 정도 올린 자세를 취하고, 체액이 모이는 8-9번째 늑간 중앙액 와선에 관을 삽입한다. 관은 공기 배출을 위해서는 폐 첨부에, 액체 제거를 위해서는 후방 하부에 놓인다. 대상자가 체위를 취할 수 없으면 침범된 쪽이 위로 가게 하고 한쪽으로 눕힌다.관은 삽입하는 동안 잠그고 관이 흉강 내에 위치하면 흉곽배액에 연결한 후 관을 열어둔다.
흉관을 가진 대상자 간호는 흉관을 삽입한 후 드레싱을 한다. 멸균된 바셀린 거즈로 관을 삽입한 부위를 감싸주고, 넓은 테이프로 폐쇄 드레싱을 하여 늑막강 내로 공기가 들어가는 것을방지한다. 기구가 개방되어 있는지 자주 관찰하고, 보든 연결 부위는 테이프로 잘 감아준다.과거에는 흉관의 개방성을 유지하기 위해 훑어주거나 짜주는 방법을 사용하였으 나 흉막 조직의 손상과 흉막내압 상승의 위험이 있어권장하지 않는다. 새로운 흉관은 혈전이 생기지 않도록 코팅 되어 있어 배액물과 혈액으로 인해 흉관 안에 응괴가 형성되지 않는다. 간호사는 흉관이 환자에게
고통을 줄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튜브가 고정 되지 않으면 빠질 수 있다. 환자를 이송하는 동안이나
관이 우연히 빠졌을 때 흉관을 잠그면 흉강 내로 빠르게 공기가 축적되어 긴장성 기흉을 유발할 수 있다. 만
약 흉곽 튜브가 우발적으로 빠졌다면 가능한 한 즉시 밀봉배액체계와 새로운 배액체계를 제공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간혹 새로운 배액체계를 제공하기까지 약 2cm의 물에 흉관을 담그기도 한다.
배액 장치를 바꾸거나 공기가 새는지 확인하기 위해잠시 흉관을 잠그는 동안 흉관을 제거 해도 괜찮은지
대상자를 관찰한다. 일반적으로 튜브를 제거하기 4~6 시간 전에 흉관을 잠그고 관찰한다.흉관의 배액량, 색깔, 농도, 냄새 등의 특징을 관찰기록한다. 처음에는 15~20분마다 배액의 특징을 관 찰한다. 용기에 수직으로 테이프를 붙이고 매시간 테이프에 배액 수준을 표시한다. 매시간 100 mL 이상의이프에지속적 인 배액이 있거나 첫 24시간 내의 배액량이 500 mL를 초과하면 의사에게 보고한다.가장 중요한 간호는 대상자가 호흡할 때 흉곽이 대
칭적으로 팽창하는지 관찰하고, 비정상 호흡음이 들리는지 관찰하는 것이다. 호흡의 횟수, 깊이 . 양상을 관
찰하고 폐의 재팽창을 촉진하며, 청진으로 폐의 환기작용을 확인한다.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대상자에게
매 시간 심호흡과 기침을 하도록 격려한다. 긴장성 기흉이 아닌 경우에는 흉관이 늑막강에서 빠지면 대상자에게 강하게 숨을 내쉬도록 하고 즉시 개구를 막아야 한다. 상처는 관을 다시 삽입할 때까지 바셀린 거즈로 압력을 가해 덮어야 한다. 바셀린 거즈를사용할 수 없다면 4 × 4 거즈나 손바닥 또는 홑이불을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보풀이 일어나는 물질은 흉곽내로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해서는 안 된다. 대상 자에게 긴장성 기흉의 증상과 징후가 나타나면 빨리드레싱을 제거하여 공기가 나오도록 한다.흉관을 가진 대상자의 사회 심리적 간호 흉관의 삽입은
몹시 고통스럽고 힘든 과정이므로 대상자와 가족을 안심시키고, 흉관삽입 동안 정서적으로 지지한다.
대상자들은 통증을 줄이기 위해서, 또 관이 빠지지 않을까 하는 두려움에서 호흡과 움직임을 억제하므로,관이 테이프로 안전하게 고정되어 있음을 설명한다.폐의 재팽창을 촉진시키기 위해 체위변경, 기침, 심호흡과 같은 운동을 권장한다. 대상자가 호흡운동을 하는 동안 불편감을 감소시키기 위해 진통제를 투여할수 있는데, 마약성 진통제는 호흡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주의 깊게 투여한다. 흡인기를 사용할 때에는 거품이 일고 약간의 소리가 난다는 것을 설명해준다. 대상자와 가족에게 두려움을 말할 수 있는 기회를주고, 흥곽배액 절차와 기구에 관한 질문에 답변을 한다.

'건강 HEALTH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병태생리에 의한 통증종류  (0) 2017.08.15
기간에 따른 통증의 종류  (0) 2017.08.14
간,담도,췌장 검사의 종류  (0) 2017.08.12
구강장애와 식도장애  (1) 2017.08.11
상부위장관 질환에 대해 알아보자  (0) 2017.08.1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