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병태생리로 통증을 구분해보겠다.유해자극성 통증은 체성과 내장성 통증으로 분류할수 있다. 발생하는 부위에 따라 신체 표면 체성 수용기에서 생기는 표재성 통증, 신체 심부기관에서 생기는 심부성 통증, 복강 내 기관에서 생기는 내장성 통증 그리고 통증 원발 부위에서 떨어진 다른 부위에서 통증을 느끼는 연관통증이 있다.
표재성 체성 통증은 유해자극이 피부를 자극하여 바로 그 지점에 통증을 느끼는 것으로 주로 국소화된 부위에 예리한 통증을 느끼게된다. 표재성 통증은 비교적 다른 증상을 일으키지 않는 편이다.심부성 체성 통증은 근육, 관절인대, 건, 심부근막, 혈관, 신경 등에서 발생하는 통증으로서 통증의 위치가 국소화되지 않고 확산된다. 심부성 통증은 표재성 통증보다 둔하게 느껴지고 지속적이며, 오심·발한, 혈압의 변화 등을 동반 한다. 골격근의 신전과 허혈에 의해 통증이 유발되며,뼈와 연골은 과다한 압력이나 화학적 자극에 의해 통증이 유발된다.뇌내김 흉강, 복강, 골반 상 등 체강 내에 있는 장기에서 발생하는 통증으로서 통증 부위가 넓고 지속적 이다. 체강 내 장기에는 피부나 근육보다 감각수용기가 적어서 절개·화상·압력 등에 대해서는 별로 예민하지 않으나·협심증이나 요석 . 담석으로 인한
관의 경련 시에는 심한 을 느끼게 된다. 급성 충수염, 담낭염, 위십이지장질환, 심맥관질환, 신장염 시에는 내장성 통증 을 유발하며 설사나 경련, 발한, 고혈압등을 일으킨다.연관통증은 원발 부위에서 떨어진 다른 부위에 통증을 느끼는 것이다. 연관통증이 나타나는 현상은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아주 강한 유해자극이 심부조직이나 장기에 가해지면 그 장기로부터 온 신경섬유가 척수후각에 와서 신체 표면으로부터 온 신경섬유와 혼합되어서 제2감각신경원과 연결된다. 이것이 대뇌피질에 도착하면 신체 표면에서 온 통증으로 잘못해석하여 그 척수분절이 지배하는 구역의 피부에 통증을 느끼게 된다. 이와 같이 대뇌피질에서 잘못 해석하게 되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신체 표면에서 오는 유해자극이 장기에서 오는 자극보다 더 많아서 대뇌피질이 신체 표면의 자극에 더 익숙해져 있기 때문이다.연관통증의 예를 들어보면, 심근경색증시 좌측 어깨 와 팔로 뻗치는 통증과 담낭염시 견갑골하 통증 등이 있다.신경병증성 통증은 신경세포나 척수기전 이 손상되어 생기는 통증이다. 원인으로 당뇨병성 신경병증, 헤르페스 감염 후 신경통, 척수손상, 삼차신경통이 포함된다 불타는 듯한, 쏘는듯한 찌르는 듯한 콕콕 쑤시는 듯한, 전기가 통하는 듯한 양상을 보이며 통증의 강도가 아주 강하다. 헤르페스 감염 후바이러스 에 의한 대상포진이나 수두를 앓고 난 후 그 수포가 완전 소멸된 다음에도 수포가 있었던 부위에 심한통증이 지속적으로 남아있는 것이다. 이 통증의 기전은 아직 불분명하다. 마약성 진통제만으로 잘 조절되지 않으므로 항경련제인 phenytoin이나 삼환계 항우울제 등의 보조진통제를 함께 사용한다.신경통 은 신경병증성 통증은 중추성 혹은 말초성으로 발생한
다. 중추성 신경병증성 통증으로는 구심로 차단 통증이다.구심로 차단 통증 말초신경계나 중추신경계의 손상으로 구심로가 절단되었으나 절단 부위 상부로 계속적인 자극을 보내서 생기는 통증이며, 환상지통 을 예로들 수 있다. 환상지통은 사지를 절단한 후에 잘려나간 부위가 아프게 느껴지는 것이다. 이 현상은 신경이 일부 절단되었으나 남아 있는 신경단위가 뇌에 계속적인 자극을 보내기 때문에 생긴다고 본다. 환상지통은 이미 없는 부위가 아프게 느껴지는 것이므로 대상자가받아들이기 힘들어 하고, 피로·흥분·질병·날씨 변동·긴장 등에 의해 더욱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 환상 지통은 신경절단술로 완화되며, 절단 부위를 가볍게눌러주는 것과 의수족 작용 등에 의해서도 완화될 수있다.교감신경성 지속성 통증자율신경계 조절장애로 인해 생기는 통증으로, 반사성 교감신경 이영양증으로
인한 통증을 틀 수 있다.다발성 신경증은 여러 개의 말초신경 분포를 따라 통증을 느끼는 것으로 당뇨병성 신경병증, 알코올성 영양성 신경병증,등을 들 수 있다. 작열통은 말초신경 손상 후에 나타나는 다는 듯이 따갑고 지속
적이며 법발성인 통증이다. 이 통증은 사소한 자극이나 접촉, 정서적 불안 등에 의해서도 유발되기 때문에
바람이나 온도의 변화 등에도 주의해야 한다.흔히 침범되는 신경은 상완종,성중신경,좌골신경 들이다. 염죄, 골절, 절단, 혈관폐색 등에 의해 야기 되기도 한다.통증이 장기화되면 우울해 지고 감정장애까지 초래할수있다.
하나의 말초신경이 손상을 입은 것으로 삼차신경통을 예로 들 수 있다. 삼차신경통은 제5뇌신경 혹은 제9뇌신경의 감각 부위에 찌르는 듯한심한 통증을 느끼는 것이다. 이 통증 발작은 찬 공기에 스치는 것, 양치질, 옷에 눌리는 것, 음식 먹기, 말하기등 사소한 자극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대상자는 먹지 않으려 하고 쇠약하고 우울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