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건강 HEALTHY

정신과 질환의 종류와 정보

최고고수 2017. 7. 29. 12:12

현대인이 살아가면서 정신과 질환은 우리를 다양하게 위협한다.그종류와 정보에 대해서 알아보자.정상인에서도 불안 현상은 나타나며,살아가면서 필요한 하나의 반응이다.약간은 필요하다고 볼수 있다.실제로 위험이나 고통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미리 긴장이 되거나 불괘해지는데 ,이러한 현상은 대책을 세우는데 도움이 된다.나도 처음 스킨스쿠버를 할때나 놀이기구를 처음 접할때 불안 하고 긴장을한 경험이 있다.하지만 불안이 고통이나 기능상 장애를 주거나,부적적할때 병적 불안이 있다고 한다.실제로 몸이 아프거나 간단히 치료되는 빌병인데 불구하고 '무슨 큰병아닌가' 큰일나는거 아닌가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들을 종종 볼수 있다.약은 적은용량으로 시작해 서서히 중량해야 한다.호전이 있다면 꾸준히 우러마다 치료하는것이 좋다.1년에서2년동안 피료를 계속하고 건강하고 안전한 생활을 할때 중단하는것이다.buspirone는 인지 기능이나 정신 운동 기능장애가 일어나지 않는다.의존도도 낮아 중단시 금단 증상이 없는것이 장점이다.그러나 효과가 느려 2주가 지나야 효과가 나타난다.정신과 자문이 필요한 경우는 단순한 자살생각이 아닌 충동,혹은 계획이 있는경우이다.우을증 환자에게 6주 이상 치료를 했는데 호전이 보이지 않는다면,장기 예후를 예측해야 한다.이는 95%의 정확도가 있다.여기서 19세기 매독치료법에 잠깐 이야기 해보자.그때는 종기안에 수은을 부어 넣었다.생각만해도 아찔하다.그 당시에도 수은의 유해성은 의사들에게도 잘 알려져 있었기 때문에 몸을 상하지 않고 질병만 치료 할수 있도록 노력했다.우을증은 가정의학과 에서 가장 흔한 질환이지만 많이 발견되지 못하고 있다.대부분 우울증이며,신체적 증상이 흔하다.소화기계 장애,만성통증,피로, 광범위하며 설명되지 않는 질병력이다.복통,현기증,요통,실신,관절통,성교통,월교통,수면장애,등 15가지가 있는데 이중 3가지가 동시에 일어난다면 우을증의 신체적 증상이라고 할수 있다.노인 환자의 경우에는 저혈압등 부작용으로 2차 아민 약물을 선호한다.거의 반수에서 투약 한달이내에,구갈,변비, 등의 부작용이 일어나므로 사전에 꼭 교육이 필요하다.수면장애를 호소하는 경우,ssri 제제에 다른 약을 추가 할수도 있다.항우울제에 반응하지 않거나 양극성 장애,치료후에 신체 질환이 있거나 진단이 불확실한 경우에는 정신과에 꼭 의뢰해야 한다.피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냥 피곤하다. 이렇게 느낄수 있다.의사가 환자에게 정신적인 원인이 피로증상의 원인이라고 얘기하면 거의 대부분이 심각하게 받아 들이지는 않는다.피로를 호소하는 환자들에게 우을증이 확인될 경우에는 항우울제를 소량 사용하면 도움이 된다.병력,진찰 검사에 의해서 밝혀지지 않고 우을증및 스트레스도 관계가 없다면 1개월 후에 다시 추적 관찰하는것이 꼭 필요하다.성인들은 하루 6~8시간 수면이 필요하다.그러나 2% 하루5시간 이하,또다른 2% 는 9시간 이상의 수면을 필요로 한다.3~4주 이상 장기간의 수면제 사용은 의존성을 통해 불면증을 양속화할수 있다.다만 다른 질환 을 은폐시키고 의존성이 높아 권고되지는 않는다.장기간 사용해야 한다면 일주일에 3~4번 정도만 사용할수 있게 유도해야 한다.

'건강 HEALTH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환기 질환에 대해 알아보자  (0) 2017.07.31
호흡기 질환의 종류  (0) 2017.07.29
위암에 대해서 알아보자  (0) 2017.07.28
비호지킨 림프종에 알아보자  (0) 2017.07.28
소장암에 대해서 알아보자  (0) 2017.07.2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