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건강 HEALTHY

응급실 환경과 안전

최고고수 2017. 8. 17. 11:56

응급실 환경은 정말 중요하다.응급실에서 대상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하여 신원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며, 낙상이나 피부손상이 생기지 않도록 예방적 중재를 실시한다.응급상황에서 서비스를 제공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의학 적 시행착오나 부작용의 위험성을 고려하여 대상자와 가족의 건강력을 철저히 조사해야 한다. 의료기관은 환자나 보호자들의 폭력으로 인한 안전 문제에 노출되어 있다. 간호사는 이러한 폭력 위험에 노출되어 있어 더 높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 응급실 내의 폭력은 환자와 가족이 효율적으로 대처 하기 어려울 때 발생한다. 스트레스, 통증, 공포, 오랜 기다림, 쾌적하지 않은 대기실 부족하고 불편한 자리, 환자 상태에 대한 설명 부족 등 다양한 요인이 폭력적 인 행동을 유발한다. 대상자들이 불편해하는 환경적인 요인들을 배려하면 폭력의 가능성을 감소시키고, 좀 더 안전한 근무환경을 조성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응급치료 분야에서 다루는 폭력은 노상이나 가정에 서 발생하며 약물과 알코올 남용으로 인해 계속 증가 하고 있다. 간호사는 피해자와 가해자 양쪽을 돌보는 입장이므로 안전한 환경을 유지하며 폭력 가능성을 정 확하게 파악하고 대비할 필요가 있다. 응급실 내에서 안전을 증진시키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접근을 최소화한다.금속탐지기를 비치한다.입구에 안전요원을 배치한다.위험 시 누르는 안전 단추를 설치한다.비디오카메라를 설치한다.방문자 통제 조치를 실시한다.안전유리를 설치한다.대상자와 가족의 심리적 간호는 대상자가 갑자기 질병이나 외상을 경험한 대상자들은 위기에 적응할 시간적 여유가 없기 때문에 불안을 느낀다. 대상자들은 공포를 느낀다. 간호사는 따뜻하고 편안한 태도로 대상자에게 필요한 사항을 대상자가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설명한다.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으면 대상자가 신체적,심리적 스트레스에 더 긍정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심한 부상을 입은 대상자의 경우에는 곁에서 안심시키면서 지지해 수면 극도의 공황 상태를 완화시킬 수 있다. 절단, 부동 등 실제적이고 위협적 의식이 없는 대상자에게 신체간호를 할 때에도 이름을 부르고, 모든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대상자의 의식 이 돌아오면 자신의 이름과 날짜와 장소를 인식하도록 하고, 필요하다면 차분하게 안심시키는 태도로 현재 상황에 대하여 반복해서 알려준다.가족에게는 상해, 심한 출혈, 갑작스러운 죽음과 같은 위기에 직면하면 가족은 불안, 부정,후회, 슬픔, 분노 및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심리적 어려움을 경험한다. 불안을 표현하도록 가족을 격려하고 가능한 한 빨리 현실에 직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가족은 자신의 태만이나 부주의를 탓하는 등 죄의식 을 느낄 수 있으므로 사고나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 자신들이 할 수 있는 일이 없었다는 것을 깨달을 때까지 기분을 표현하도록 한다. 위기상황에서는 흔히 분노를 표현할 수 있다. 분노 불안을 나타내는 방식으로 종종 의사나 간호사, 병 원 직원에게 향하기도 한다. 이때 의료진은 이를 비난 하거나 거부하지 않도록 한다.

'건강 HEALTH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정폭력 시 응급간호  (0) 2017.08.18
열사병과 열성 피로  (0) 2017.08.18
응급간호의 중요성  (0) 2017.08.17
쇼크 예방을 위한간호  (0) 2017.08.16
쇼크의 원인  (0) 2017.08.16
댓글